2009/09 2

트위터는 거대한 대화방? 새로운 기회?

인터넷에는 요즘 트위터에 대해서 말이 많다. 과연 트위터의 정체는 무엇인가? 트위터의 인기 비결은 무엇인가? 각종 분석이 난무하고 있다. 그 와중에 나도 일조해보려고 한다. 나는 나름대로 획기적이라고 생각하지만 그건 내 생각일뿐이고. 며칠전 화장실에서 문득 떠오른건데, 트위터는 대화방과 유사하다는 생각이다. 회원 가입만 하면 일단 하나의 거대한 대화방에 들어가는 셈이고, 내가 팔로우 한 사람의 대화만 보이는 방식이다. 37signals의 campfire처럼 지나간 대화도 지워지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는 대화방인 것이다. 물론 거기도 한계는 있어서 내가 한 트윗(말)은 200개 이후부터는 지워진다고 한다. 내가 팔로우 했던 사람도 언팔로우 하면 바로 안보이게 되니 예전에 대화방에서 블록하는 것과 같다. 나..

I Think 2009.09.09

빈약한 시외 대중교통 정보

지역별로 시차는 있었지만 얼마 전부터 대도시 시내 버스 노선도는 인터넷지도를 통해서 훤히 볼 수 있게 되었다. 노선검색도 지원하고 있어서, 검색결과가 맘에 쏙들지는 않지만 쓸만은 하다. 그러나 이게 시내를 벗어나면 허당이다. 수도권 같은 경우야 서울 시내를 벗어나도 온통 도시에 둘러 싸여 있으니 별 문제가 없겠으나, 거기서 조금 더 벗어나 수도권 외부로까지 연결되는 버스 노선을 찾으려면 난감할 것이다. 대전에서 금산의 서대산엘 가려고 버스 노선을 찾다보니, 금산군 홈페이지에는 방면별 버스가 주욱 표로만 표시되어 있는데, 금산군 버스는 번호도 없는것 같다. 아마 시골(?)버스들이 다 그런듯싶다. 방면명이 버스 번호라고 치면되니까 그것 자체는 별 문제는 없지만, 도통 외지인은 알 수 없는 지명들뿐인데 어떻게..

I Think 2009.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