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duino 10

3D프린터 컨트롤보드인 Printrboard에 부트로더와 펌웨어 업로드하기

Opencreators의 NPMendel 3D프린터 Opencreators의 NPMendel 3D프린터의 컨트롤 보드로 쓰이는 Printrboard는 AT90USB1286이라는 칩을 쓰는 아두이노 호환 보드이지만 부트로더 업로드나 프로그램 업로드가 간단하지 않다. Lincomatic이란 사람이 그 방법을 써 놨는데 이 페이지 중간에 나오는 at90USB1286txt.zip 화일은 그대로 받아 쓰면 나중에 아두이노 스케치가 컴파일이 안되는 문제가 있다. 그 압축화일안에는 아두이노에 새 호환 칩을 추가 할 때 arduino/hardware 디렉토리나 아두이노 프로그램 디렉토리내에 추가되는 보드 설정화일이 들어 있다. teensyduino를 설치하면 teensy의 코어가 프로그램 패키지 디렉토리 내에 설치되기..

Make It Yourself 2013.08.08

아두이노 기초강좌 5

오늘은 아두이노에 스위치를 달아보기로하자. 스위치도 앞서 사용한 조도 센서처럼 아두이노에게는 입력 장치이다. 스위치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 누르고 있는 동안만 신호가 가는 스위치가 있고, 한번 누르면 손을 놓아도 신호가 가고 다시 누르면 튀어나오면서 신호가 끊기는 스위치도 있다. 슬라이드 스위치는 누르는게 아니라 좌우로 미는 식으로 사용하는데, 이건 여러단자들 간에 신호 전환이나 전원스위치로 주로 사용한다. 오늘 사용할 스위치는 아두이노에 리셋 스위치로도 달려 있는 푸쉬버튼 스위치로서, 눌렀을때만 접점이 붙고 놓으면 바로 떨어지는 방식의 스위치이다. 이 푸쉬버튼 스위치는 세탁기, 밥통을 비롯한 수많은 가전제품의 조작판에 들어가는 것으로써, 일단 눌러보면 그 느낌이 매우 친숙할 것이다. 세탁기나 밥통을 보..

Electronics 2010.06.22

아두이노 기초강좌 4

지난 번에는 주변의 빛 밝기를 감지해서 LED를 끄고 켜는 것을 만들기 시작했다. 그러다 끝에는 LED를 끄고 켜는 경계가 되는 밝기의 기준을 어떻게 잡을 것이냐를 고민하다 다음번으로 미루는 것으로 마무리를 지었다. 역시 오늘일은 내일로 미루는게 제맛이다. 제맛을 너무나 냈는지 어느새 2주가 지났다. 빛센서로부터 들어오는 아날로그 신호를 숫자로 표시해서 본다면 손으로 센서를 가렸을때와 가리지 않았을때의 차이를 LED를 끄고 켜는 경계로 할것인지, 방 전등을 아예 끄거나 켰을 때의 조도 차이를 LED 끄고 켜는 경계로 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아두이노보드에 직접 LED숫자판을 달거나 LCD를 달 수도 있지만 그건 좀 복잡하니까 나중에 내공이 쌓이면 해보고, 오늘은 간단하게 컴퓨터를 통해서 빛센..

Electronics 2010.05.11

아두이노 기초강좌 3

오늘은 아두이노를 쓰는 근본적인 이유라고나 할까? 그 이유를 체감할 수 있는 것을 만들어 보기로 한다. 아두이노를 이용해서 세상과 반응 하는 기계를 만드는 것이다. 말은 거창하지만 별거 아니다. 단지 빛에 반응해서 LED를 끄고 켜는 것을 만들어 보는 것이다. 세상과 반응하려면 세상을 읽어야 한다. 기계도 오감을 가질 수 있을까? 사람 처럼은 힘들어도 어느 정도는 가능하다. 빛센서를 이용해서 밝기를 감지할 수도 있고, 카메라를 달면 사물의 모양도 감지 할 수 있지만 아두이노는 카메라신호에서 웃는 얼굴을 구분하는 프로그램을 돌리기에는 좀 벅차다. 그런건 컴퓨터를 이용해서 해야하고 프로그래밍도 좀 어렵다. 그러나 게임기 Wii의 리모콘에 달려있는 적외선카메라는 아두이노에도 붙여서 적외선의 점의 좌표를 전달 ..

Electronics 2010.04.28

아두이노 기초강좌 2

지난번 아두이노 기초강좌1에서는 일단 LED를 켜고 끄는 간단한 코드를 살펴봤다. 아무리 간단해도 프로그램을 전혀 안해봤다면 적잖이 당황했을 것이다. 모르는 프로그래밍 언어로된 코드를 처음 보고 가장 답답한것 중의 하나는, 어떤 것이 바꿀수 없는 명령어이고 어떤것이 바꿀수 있는 변수인지 구분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런 의문 역시 프로그래밍을 좀 해본 사람이 가지는 궁금증일 것이다. 내가 프로그래밍을 처음 배울때를 최대한 기억해내면서 진행해보겠다. 아무튼 오늘은 지난번의 예제 코드를 좀 더 들여다보면서 이것 저것을 바꿔보면서 어디를 얼마만큼 바꿀 수 있으며, 그럴때 뭐가 달라지는지를 설명해보기로 하겠다. //LED blink example int ledPin = 13; // 13번 핀을 ledPin이라고 이..

Electronics 2010.04.14

아두이노 기초 강좌 1

지난 번에는 아두이노가 무엇인가와 아두이노에 흥미를 가질 수 있을 만한 예를 몇가지 보는 것으로 아두이노를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에는 약간 깊이 들어가보기로 한다. 약간만 ^^ 아두이노로 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일이 LED를 켜고 끄는 것이다. 그걸 하기 위한 도구를 어떻게 준비하고 연결해야되는지를 알아 보자. 먼저 아두이노 보드와 컴퓨터가 필요하고, 둘을 연결할 USB케이블이 필요하다. 그리고 컴퓨터에 아두이노 프로그래밍을 위한 프로그램인 아두이노를 www.arduino.cc 에서 자기 OS에 맞는 것으로 무료로 다운받아 설치한다. 오픈소스라서 공짜다. 걱정하지 말고 다운받아서 설치하자. 아두이노 보드와 USB케이블은 www.plughouse.co.kr에서 살 수 있다. 전자부품을 잘 모르면 ..

Electronics 2010.04.07

GPS Logger 자작기

GPS Logger를 만들기로 마음 먹은지 6개월은 더 지난 것 같다. 마냥 미루고만 있다가 갑자기 지난 주 산행에 앞서 급 필 받아서 만들게 되었다. GPS Logger란 GPS 위성신호를 받아서 여정 내내 이동한 궤적을 좌표로 기록하는 장치이다. 그걸 기록해서 뭐하냐고? 별 대단한 이득은 없다. 그냥 여정(트랙)을 올리는 사이트에 올려서 내가 이런 곳을 다녀왔다라는 걸 알려보겠다는 거다. 거기엔 다른 사람들이 등산을 하는데 내 등산 기록이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도 있고, 사진과 GPS좌표를 연동시켜서 웹에 올리는 재미도 있다. 내 주변에 김 모군도 그런걸 뭐하러 올리고 xx인지 모르겠다고 한마디 하지만, 올리고 싶은 사람은 또 올린다는 거다. 사회심리학적으로 어떤 동기부여가 있어서 사람들이 그러는지..

Electronics 2009.08.17

GPS 데이타로 거리및 방위 계산하는 방법

요즘 만드는 로봇이 바다에서 떠 다니는 녀석이기에 GPS데이타를 받아서 로봇의 위치도 파악하고 이동방향도 정하려고 한다. 그래서 정밀한 위치 파악을 해보려고 DGPS라는 걸 써보려고 하기도 했으나 일반 GPS기기로 힘들다는걸 알고 포기한바 있다. 그래도 요즘 나온MTK칩셋을 쓴 GPS수신기는 자기들말로는 정확도가 3m정도 된다고 하니 내가 원하는 수준은 만족한다 싶어 그대로 가기로 했다 GPS데이타는 5V짜리 시리얼 TTL신호로 출력되고 NMEA 0138인지 뭐 그런 형식의 미리 정해진 규칙대로 시간 위도 경도 속도 고도 등을 보통 1초 주기로 출력한다. 초당5번 출력이 가능한 수신기도 있다. GPS데이타를 USB-UART 변환 케이블에 전원 접지 TX세가닥만 연결해도 데이타 윈도우즈 보조프로그램 통신 ..

Electronics 2008.10.13

PetToyBot 제작기 1

제 구형 디카의 동영상찍기에 음향저장 기능이 없어서 무성영화가 됐습니다 --; 적외선 동작 감시 센서(PIR)를 이용해서 주변의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 방향으로 조금씩 조금씩 이동해 가는 로봇입니다. 기능은 단순하지만 사람보다는 단순한 애완동물에게는 그런대로 만족스러울 수 있다는 생각에 만들게된 애완동물이 가지고 노는 장난감 로봇 PetToyBot입니다. 나름대로 자율적으로 움직이는 로봇인지라 그냥 켜 놓으면 지 혼자 지익 지익 돌아다니는게 마치 살아있는 것 같은 느낌도 약간은 줍니다^^ 로봇에 동작 감시용 적외선 센서를 쓰는 경우는 그리 흔지 않더군요. 그도 그럴것이 이 센서 자체가 움직여가지고는 제대로 센싱을 할 수가 없기 때문이죠. 그래서 이 로봇은 이동과 정지후 감지를 번갈아 가면서 수행..

Make It Yourself 2008.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