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ctronics 24

아두이노 기초 강좌 1

지난 번에는 아두이노가 무엇인가와 아두이노에 흥미를 가질 수 있을 만한 예를 몇가지 보는 것으로 아두이노를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에는 약간 깊이 들어가보기로 한다. 약간만 ^^ 아두이노로 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일이 LED를 켜고 끄는 것이다. 그걸 하기 위한 도구를 어떻게 준비하고 연결해야되는지를 알아 보자. 먼저 아두이노 보드와 컴퓨터가 필요하고, 둘을 연결할 USB케이블이 필요하다. 그리고 컴퓨터에 아두이노 프로그래밍을 위한 프로그램인 아두이노를 www.arduino.cc 에서 자기 OS에 맞는 것으로 무료로 다운받아 설치한다. 오픈소스라서 공짜다. 걱정하지 말고 다운받아서 설치하자. 아두이노 보드와 USB케이블은 www.plughouse.co.kr에서 살 수 있다. 전자부품을 잘 모르면 ..

Electronics 2010.04.07

꽃보다 남자? 물감보다 아두이노!

얼마 전 있었던 창작자들을 위한 LETS 컨퍼런스에서 한 테이블을 차지하고 아두이노를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는데, 관심은 있으나 배울 기회가 없어서 접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돈 내고 배울 수 있는 곳도 있으나 가격도 만만치 않고 서울에서만 하는 관계로 지방에 살면 접근성도 좋지 않다. 그래서 이 블로그에서 쌩초보를 위한 강좌를 연재해보기로 했다. 10회 정도를 목표로 전자회로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도 쉽게 알 수 있을 정도로 쉽게 쓰는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두이노 보드 이름도 낯선 아두이노(Arduino), 무엇에 쓰는 물건인가? 정체는 무엇인가? LED(전구처럼 불이 켜지는 부품)를 정해진 규칙(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켜지고 꺼지게 할 수도 있고 모터를 원하는 속도로 ..

Electronics 2010.03.30

GPS Logger 자작기

GPS Logger를 만들기로 마음 먹은지 6개월은 더 지난 것 같다. 마냥 미루고만 있다가 갑자기 지난 주 산행에 앞서 급 필 받아서 만들게 되었다. GPS Logger란 GPS 위성신호를 받아서 여정 내내 이동한 궤적을 좌표로 기록하는 장치이다. 그걸 기록해서 뭐하냐고? 별 대단한 이득은 없다. 그냥 여정(트랙)을 올리는 사이트에 올려서 내가 이런 곳을 다녀왔다라는 걸 알려보겠다는 거다. 거기엔 다른 사람들이 등산을 하는데 내 등산 기록이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도 있고, 사진과 GPS좌표를 연동시켜서 웹에 올리는 재미도 있다. 내 주변에 김 모군도 그런걸 뭐하러 올리고 xx인지 모르겠다고 한마디 하지만, 올리고 싶은 사람은 또 올린다는 거다. 사회심리학적으로 어떤 동기부여가 있어서 사람들이 그러는지..

Electronics 2009.08.17

GPS 데이타로 거리및 방위 계산하는 방법

요즘 만드는 로봇이 바다에서 떠 다니는 녀석이기에 GPS데이타를 받아서 로봇의 위치도 파악하고 이동방향도 정하려고 한다. 그래서 정밀한 위치 파악을 해보려고 DGPS라는 걸 써보려고 하기도 했으나 일반 GPS기기로 힘들다는걸 알고 포기한바 있다. 그래도 요즘 나온MTK칩셋을 쓴 GPS수신기는 자기들말로는 정확도가 3m정도 된다고 하니 내가 원하는 수준은 만족한다 싶어 그대로 가기로 했다 GPS데이타는 5V짜리 시리얼 TTL신호로 출력되고 NMEA 0138인지 뭐 그런 형식의 미리 정해진 규칙대로 시간 위도 경도 속도 고도 등을 보통 1초 주기로 출력한다. 초당5번 출력이 가능한 수신기도 있다. GPS데이타를 USB-UART 변환 케이블에 전원 접지 TX세가닥만 연결해도 데이타 윈도우즈 보조프로그램 통신 ..

Electronics 2008.10.13

정밀 하다는 DGPS, 일반 GPS기기로 가능한가?

결론적으로 안된다. 요즘 만드는 로봇이 정밀한 위치 측정이 필요해서, 말로만 듣던 DGPS(Diffrential GPS)를 어떻게 세팅하는지를 찾아보았다. 그러나 DGPS에 대한 설명만 있을뿐 어떻게 세팅하는 지에 대한 글은 찾기가 힘들었다. 결국 찾아간 종착지는 위성항법 중앙사무소(www.ndgps.go.kr)라는 곳이었다. 그곳의 질문답변 게시판의 오고간 질문과 답변을 보니 전국 각지의 기준국에서 DGPS 보정신호가 중파대로 송출되고 있고 수신기는 안테나가 커야 되기 때문에 일반 내비게이션에는 장착되기 어렵다는 것이었다. 사이트에 가보고서야 알게 된것이지만 수년전부터 저런 기준국들이 설치되고 있었다고 한다. 그러니까 DGPS는 그냥 일반 수신기에서 세팅만 바꿔서 되는것이 아니라 저런 기준국들로부터 신..

Electronics 2008.09.26

전력 부족이 로봇에 미치는 영향

사람도 밥을 굶으면 힘을 못쓰듯이 로봇도 전력이 부족하면 제대로 움직일 수가 없기 마련이다. 그러나 전력 부족이라고 생각하기 어려운 경우도 결국 원인은 전력(전류나 전압)의 부족이 원인이 경우가 있다. 어제 오늘 겪은 두가지 문제 모두 멀티 미터로 체크 해본 전압은 정상이었으나 전류가 부족해서 벌어진 일이었다. 먼저, 어제 있었던 문제는 로봇의 전원으로 1.2v 니켈수소 전지 4개를 레귤레이터 없이 쓰던 것을 7.4V 리튬 폴리머로 바꾸면서 레귤레이터를 거쳐 5V로 낮췄더니 벌어진 문제 였다. 모터를 가동할 시점만 되면 프로그램 로직상 불가능한 곳으로 점프를 하는 것을 반복하는 것이었다. 모터가 가동 될 때 마다 그렇게 되는 걸로 봐서 아무래도 전력이 부족한게 아닌가 싶었다. 그래서, 마이크로 컨트롤러로..

Electronics 2008.05.31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프로그램 업로드가 안된다?

얼마전USBTiny라는 ISP(In System Programmer; 마이크로 콘트롤러용 프로그램 업로드 보드)를 만들었다. 그런데 Atmega168은 프로그램 업로드가 잘되는데 Attiny2313은 안되는 것이다. 내가 가진 두개의 Attiny2313 중에 하나는 USBTinyISP를 만드는데 썼고 나머지 하나가 안되는 것이다. 두 2313에는 USBTiny용 프로그램을 넣어놨었다. 그건MiniPOV의 회로를 이용한 DASA 프로그래머를 이용해서 업로드 했었다. 그때도 처음에 프로그램을 넣을때는 잘 되더니 그 이후 부터는 안되는 기이한 현상이 있었다. 그래서 당시에도 한번 프로그램을 올리면 그 다음에는 안되는 뭔가가 있는가? 하는 의구심만 가진채 서랍에 쳐박아 두었었다. 그런데 어제 인터넷 어디선가 외..

Electronics 2008.05.23

회로내에서 간섭 제거법

회로를 꾸미다 보면 여러가지의 기능을 하는 모듈이 한 회로속에 들어가게된다. 한 회로속에 들어가게 된다는 것은 전원과 접지를 공유 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어느 한 모듈에서 고주파 신호를 만들어 내게 된다면 그 신호가 다른 모듈에 영향을 미쳐서 그야말로 미쳐 버린다. 기판을 보면 모든게 다 얽혀 있는것 같지만 잘 보면 나름대로 기능별로 나뉘어 있다. 다만 전원과 접지를 공유하기 때문에 모든 회로가 얽혀 있는것 처럼 보이기 쉽상이다. 모듈간의 간섭 문제는 로봇같은 걸 만들다보면 필히 겪게된다. 여러 종류의 센서를 쓰게 되기 때문에 이 센서 회로가 저 센서 회로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생기는 것이다. 내 경우는 적외선 거리 센서를 달았더니 적외선 동작감지 센서에 엄청난 규칙적 노이즈가 끼는 문제가 있..

Electronics 2008.05.23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프로그램을 넣기 위해서~

지난번 마이크로 콘트롤러 전반적인 소개에 이어 이번에는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프로그램을 집어 넣는 하는 장비인 ISP(In System Programmer)이야기를 해보기로 하겠다. 먼저소개한 AVR이라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프로그램을 업로드 하기 위해서는 ISP라는 장치를 쓴다. 인 시스템 프로그래머는 말 그대로 시스템 안에서 프로그램을 업로드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비다. 예전에는 프로그램을 바꾸려면 칩을 일일이 뽑아서 프로그래머라는 비싼 기계에 다시 꽂아서 프로그램을 업로드 해야 했었지만 요즘에는 그냥 만든 장비에 그대로 꽂아 놓은채 커넥터만 꽂아서 프로그램을 업로드 할 수 있다. AVR 시리즈의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그런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가능해진 것이다. 물론 장비를 만들때 프로그래밍 용 포트..

Electronics 2008.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