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4 5

사용자 군 user segmentation 나누기

유저 세그멘테이션이라고 자주 말하지만 적당한 우리말을 찾기 쉽지 않다. 누가 좀 만들어주면 좋겠다. 아 사용자 군이라고 하면 되려나?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기 위해 현장조사field research를 하는데, 하고나서 결과를 분석하는 작업이 만만치가 않다. 이사람 저사람에게 이것 저것 물어보고 관찰한 데이타들에 일정한 형식이 있는 것도 아니고 양도 적지 않아서 몇십명이 넘어가게 되면 내가 직접 하고도 누구에게 무슨이야기를 들었는지도 잘 기억이 나지 않을 정도가 된다. 현장조사 데이타가 통찰력있는 니즈로 탈바꿈하는 과정에 필수 적인 것이 사용자군을 파악하는 것이다. 니즈를 파악한다는 것은 어떤 사람들은 어떻게 행동하기 때문에 어떤 경우에 어떤 니즈를 가지게 된다라는 문장에서 어떤이라는 말을 특정한 단어로 ..

SONY VAIO 외장형 CDROM 드라이브 달린 노트북에 UBUNTU 깔기

음 이것 역시 대단한 삽질에 대한 이야기다. 지난 며칠간 외장형 씨디롬 드라이브가 달린 소형 바이오 노트북 PCG-SRX7S/PB 에 우분투를 설치하려고 많은 시간을 쏟아 부었다. 그 시간이 너무 아까워서 그냥 넘어갈 수가 없어서 여기에 기록을 남기고자 한다. 혹시 다른 사람도 나 같은 경우라면 도움이 되길 바란다. 해결책은 너무 간단했다 TT 친구가 업그레이드 후 방치해뒀던 바이오 노트북을 얻었다 ^^ 카페에 가서 프로그래밍 해보는게 소원이었던 나는, 느리다면 리눅스를 깔면 나을 것이다 라는 생각에 리눅스를 깔기로했다. 우분투로깔기로 하고 다운을 받아서 씨디로 구워서 드라이브에 넣고 설치를 시작했다. 그런데 처음엔 잘 인식하던 씨디롬 드라이브를 리눅스 설치 모드가 되니, 갑자기 인식을 못해서 수동으로 ..

Ruby on Rails 2007.04.13

뷰와 콘트롤러와의 연결

지금까지 레일스를 두어달 남짓 해오면서 거의 예제를 따라해보거나 플러그인을 주로 가져다 쓰다보니 컨트롤러와 뷰를 내가 고스란히 처음 부터 만들어 본적이 없었다. 사실 아직도 그렇긴 하다. 아무튼 그래도 얼마전 부터는 전보다는 많이 고쳐보고 있는데, 입력이나 수정 폼에 셀렉트 박스 하나를 넣을 일이 있었다. 그런데 그것조차 하나 맘처럼 쉽게 안되는것이다. 비슷한 기능을 form_for로도 하고 form_tag으로도 하는데 새로 만드는 뷰인 new.rhtml에서는 form_for를 써줘야하고 수정하는 뷰인 edit.rhtml에서는 form_tag을 써야만 되는 것이다. 이경우는 두 뷰가 _form.rhtml로 텍스트 박스와 셀렉트 박스등이 들어 있는 부분을 공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벌어진 일이다. 내가 잘 몰..

Ruby on Rails 2007.04.13

사용자에게 무엇을 물어볼 것인가?

앞서 애자일컨설팅의 김창준님 블로그를 보면서 하고 싶은 말이 더 있었다. 오픈마루는 초기 기획 단계 부터의 형성적인 유저리서치로 쓸만한 서비스를 만들어 냈다는 김창준님의 글도 있는 반면, 유저 리서치는 능력없는 디자이너가 하는 것이라고 말하던 IDAS에서 제품디자인을 가르치는 프랑스교수님도 계셨듯이 유저 리서치는에 대한 대접은 하늘과 땅을 오간다. 유저 리서치는 왜 그런 취급을 받고 있을까 생각해보자. 사용자 그러니까 고객은 왕이다라는 말은 경영계에선 너무나 흔히 쓰이는 말이다. 그래서 어느 정도 개념이 있는 기업에서는 모두 유저 리서치를 어떤 형태로든 어떤 단계에서든 하기는 한다. 하지만 어느 단계에서 하느냐와 무엇을 얻고자 하느냐가 매우 다르기 때문에 그에 따라 결과가 천지 차이가 나고 그러니 평가가..

신제품 개발업계는 소프트웨어 업계를 본받아야 한다.

업계라고 쓰긴 했으나 신제품 개발만 전담하는 회사를 말하는 것은 아니고 그 분야의 일을 하는 사람들 정도의 의미가 되겠다. 물론 새로운 사업 모델을 고민하는 나도 거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겠고, 기업 내부의 신상품 개발에 관련된 사람들로써 상품 기획 부서, 디자인 기획 부서, 다른 기업의 신상품 개발을 돕는 마케팅 리서치 분야나 관련 컨설팅 업계의 사람들이 거기에 포함 될 것이다. 전자 제품이나 일상 용품 식품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상품의 개발은 해당 기업의 사활이 걸린 문제이다. 당장 오늘 신문에 난 기사만 봐도 레이저폰으로 잘나가던 모토롤라가 레이저의 인기가 시들하자 수익율이 곤두박질해서 CFO를 자르는 등 난리가 났다는 이야기가 났다. 그게 어떻게 돈 관리하는 사람의 잘 못일까? 히트상품을 그렇게 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