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1 8

엔진배기구 장식 LED 그 이후의 세계를 향하여~

저녁 무렵에 보던 비행기 엔진(?)에서 빛나던 빨간 LED는 참 멋졌드랬습니다. 전자회로 만든다고 돌아다니던 사이트에서 POV(Persistence of Vision )라는 걸 봤습니다. 처음 본건 아니고 예전에 제품으로 만들어져 팔리던걸 본적은 있었지만, http://www.ladyada.com 이란 사이트에 가니까 제작법을 오픈 소스로 다 올려놓고 키트로 꾸며서 팔기도하고 하더군요. 주인장이 MIT출신 처자인데, 그 여자도 Makezine 필진으로 글을 쓰고 있어서 알게되어 찾아갔었죠. 아무튼, POV라는건 아래 사진처럼 LED를 마이컴으로 규칙적으로 깜빡이게하여 허공에 휘저으면 잔상을 이용하여 글씨나 그래픽이 보이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저 뒤에 흐릿하게 나온 아낙이 그 사이트주인이죠. 업계(?)에서..

RC Airplane 2008.01.31

IPTV 시대의 지상파 방송사의 운명?

MBC도 하나로 텔레콤 인수전에 뛰어들었었듯이 다른 지상파 방송사들도 인터넷 망 사업에 뛰어들 의향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IPTV사업에 빨리 뛰어 들지 않으면, 앞으로는 양방향화 할 것이 분명한 TV 시장에서 지금의 프로덕션 같은 컨텐트 제공자 역할 밖에 못 할 것이다. 이미 전국민 대다수가 시청중인 케이블방송도 디지털케이블에서는 IPTV의 초기형태를 띄고 있다. IPTV는 컴퓨터의 강력함을 편리함으로 포장해 거실로 끌어낸 것이다. 그 것은 자녀세대에게서 부모세대로까지 인터넷의 영향력이 퍼져 가는 것이자, 인터넷 속으로 TV가 스며들어버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공각 기동대에서 사람의 의식을 전자두뇌에 다운로드 하듯이 말이다. 기술이 진보하게 되면 기술의 존재를 알지 못해도 기술을 편..

인터넷 요금을 또 내라고? IPTV사업자에게 망사용댓가 부과는 부당하다.

이번에 다음과 NHN의 IPTV사업 진출을 두고 말들이 많다. NHN은 망사업자인 KT와 제휴를 통해 진출하고, 다음은 망사업자와의 제휴 없이 진출하는 것을 두고 어느 쪽이 유리할 것인가를 두고 한마디씩 하고있다. NHN이 망사업자와의 제휴를 했기 때문에 유리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하는 사람들은, IPTV를 위해 거액을 투자한 망사업자들이 다음의 무임승차를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인터넷 망사업자들은 자신들이 주장하는 속도로 정액의 요금을 받으며 소비자에게 인터넷 망 사용요금을 받고 있다. 100메가를 3만원에 받고 있으면 100메가를 다 쓰던 1메가만 쓰던 그것은 소비자 마음인 것이다. 망사업자들이 자신들과 제휴하지 않은 IPTV사업자들에게 망사용댓가를 받아낸다면 그 금액은 고스란..

I Think 2008.01.28

R&D에 돈 쏟아 붓는 것이 혁신인가?

strategy+business 라는 잡지에 혁신과 R&D에 관한 좋은 글 이 올라와 소개하고자 한다. 정확히는 성공적인 혁신전략에 관한 이야기이다. 기사는 잡지사의 에디터와 전략 컨설팅회사인 부즈 앨런 해밀턴의 부사장과의 대담 형식으로 되어 있다. 컨설팅 회사들의 기원이 애초에 회계사들이 모여서 기업에 자문을 해주던 것이 었기 때문에 컨설팅 회사들은 대대로 업무효율을 높이는데에 컨설팅의 역점을 둘 수 밖에 없었으나 요즈음은 시대가 바뀌어 혁신에도 손을 대고 있다. 부즈 앨런 해밀턴이 다른 곳 보다는 좀 혁신에 신경을 더 쓰는 곳으로 보인다. 부즈앨런해밀턴에서 전세계에서 R&D투자를 가장 많이 하는 1000개 기업에 대해 3년간의 조사를 해보니, 첫해의 조사에서 R&D투자 금액과 기업의 성과가 별 상관이..

I Think 2008.01.25

이익이 늘어도 이익증가율은 마이너스?

요즘 한참 안보던 주식을 좀 들여다 보고 있다. 머니사이언스라는 책에서 본 것 처럼 주가는 단기적으로는 단지 무작위로 움직일 뿐이라는 말에 동의하기 때문에 주식 투자를 하려면 기업의 가치를 보고 장기적인 투자를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단기적으로 호재니 악재니 하는 것들에 뒤흔들리며 짧은 시간단위로 변하는 주가를 들여다보면서 등락을 예측하는 짓은 경마장이나 카지노에서 하는 도박과 별다르지 않은 짓이라고 본다. 대부분의 증권사나 주식정보로 먹고 사는 분들이 꾸준히 하고 계시다. 옛날 미국 골드러쉬때 돈번 사람은 곡괭이랑 청바지 장사였다는 말처럼 그들은 수수료만 벌어 먹으면 되니까 사람들이 거래를 많이 할수록 그들은 수지가 맞는다. 서로 당구 실력 뻥튀기해서 오래 게임해봐야 돈버는건 당구장 아저씨다. 본론으로 ..

I Think 2008.01.20

이제 QBOX로 블로그에도 음악이 나오게 할 수가 있네요

블로그를 돌아다니다가 어느분 블로그에서 우연히 음악이 나오는걸 보게 됐습니다. 배경음악 검색서비스인 큐박스가 얼마전에 해외 서비스를 준비 중이라는 공지를 올린적이 있었는데 이제 베타 오픈을 했나봅니다. 언제 했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 해외판 큐박스가 국내판과 다른점은 해외판은 블로그에 위젯방식으로 임베딩이 가능해졌다는 거네요. 요즘 블로그플리케이션(블로그용 어플리케이션이)이 많이 늘고 있는 추세에 따라 큐박스도 기능을 추가했나봅니다. 안그래도 블로그용으로 배경음악 달 수 있는 방법이 없나? 하는 생각을 며칠 전 했었는데 이미 있었군요 ㅎㅎ 생각만 하면 나오니까 참 편하네요 음악뿐 아니라 아에 뮤직 비디오가 나오니까 더 업그레이드 된건가요? 아무튼 제가 저 옆에 달아 놨으니까 여러분도 가서 한번 써 보시..

취미로 하는 RC 비행기에도 혁신은 있었다.

RC 비행기를 하시는 분들은 뻔히 아시는 이야기 겠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실로 놀라운 이야기가 요즘 RC는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모터를 돌려서 비행기를 날린다는 것이다. 나도 어릴적부터 RC를 취미로 해보고 싶었으나 당시에는 가격이 너무 비쌌기 때문에 꿈만 꾸다가 다 커서 몇년전에야 RC자동차 하나 장만했고 얼마전에야 RC 비행기에 입문하게 되었다. 그 때 깜짝 놀란것이 요즘엔 엔진이 아니라 모터로 비행기를 날린다는 것이었다. 모터로 비행기를 날릴만한 힘이 되리라고는 생각을 못했었던 것이다. 그러나 휴대폰에 쓰이던 가볍고 힘좋은 리튬폴리머 배터리가 RC비행기에 쓰이고, 거기에 또 힘좋은 브러쉬리스 DC모터까지 쓰이게 되면서 전동 RC비행기의 시대가 활짝 열린것이다. 소음도 적고 매연도 없으며 시동..

I Think 2008.01.03

인터넷 공짜로 쓰는 법

스타벅스나 여타 카페 같은 곳에서 무선인터넷을 쓰는 사람을 많이 볼 수 있다. 네스팟같은 것을 돈내고 쓰는 사람도 있지만 요즘 인터넷 공유기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능 달린 것들이 많이 나오면서 무선인터넷 신호가 그냥 흘러나오는 것들이 많다. 공유기 주인이 의도하던 않던 간에 그들이 길에 널어 놓은 것을 줏어 쓰는 셈이다. 아파트는 이웃간에 매우 가깝게 붙어 사는 구조이다 보니 윗 집 사람이 화장실에서 일보고 물내리는 소리와 우리집에서 다른 식구가 물내리는 소리가 구분이 안갈 정도다. 심지어 대화 소리도 들린다. 무선 인터넷 신호는 어떨까? 걔들도 물론 공유된다. 윗집 꼬마들이 뛰어다니는 소리가 중저음 우퍼의 베이스 소리처럼 웅장해도 내가 참을 수 있는 이유는 어느 집에선가 흘려보내주는 무선인터넷 신호 ..

How to make -Tech 2008.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