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Think 28

전기자동차활성화는 기술문제인가? 사회문제인가?

아래 글은 다음 아고라에 내가 올린 글이다. 아고라에 처음 글을 써 봤다. 전자신문에 나온 전기자동차에 관한 기사를 보다가 분을 참지 못하고 썼다. 예전 부터 전기자동차 활성화를 가로막고 있는 기득권층의 음모에 분노해오던 차에 그런 기사를 보니 가만있을 수가 없었다. 전기자동차 활성화 운동이라도 벌이고 싶다. 음 일단 내 블로그에서 시작해보련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전기자동차활성화는 기술문제인가? 사회문제인가? 전기자동차가 활성화되지 못하는 이유가 전기자동차 기술 부족이 문제일까요? 아닙니다. 정부의 유류세 감소에 대한 우려와 정유업계 자동차 업계의 입김이 작용한 사회적 문제입니..

I Think 2008.08.19

아이디어와 실행력

오늘 인터넷에서 구면형 이미지센서가 개발되었다는 기사를 보았다. 예전에 친구에게 이야기 했던 내가 생각한 이미지 센서의 모습이 그런 것이었다. 사람의 눈은 이미지를 받아 들이는 면이 구면이라서 화상의 가장자리 부분도 열화없이 받아 들일 수 있으니까 카메라의 이미지센서도 구면으로 만들수만 있다면 굉장한 카메라가 나올 것이다라는 이야기 였다. 오늘 발표 될 정도면 그당시에는 이미 연구가 상당히 진행되었을 것이고 나보다 훨씬 전에 아이디어를 생각해 냈을 것이다.나 아이디어 좀 잘 내는 편이다 라고 자부하는 사람은 이런 경우를 종종 겪을 것이다. 그러나 절대 아쉬워 하지는 말자. 나도 내심 약간 아쉽기는 하지만, 난 이미 늦은 것이었고, 아니 빨랐다 해도 난 아무런 행동도 취하지 않았을 것이니 말이다. 승리는 ..

I Think 2008.08.07

Threadless - 제조업의 미래?

Threadless라는 미국의 티셔츠 판매 사이트가 있다. 회원들이 올린 디자인을 회원들이 평가하도록 해서 인기 있는 디자인을 티셔츠에 프린트 해서 판매하는 독특한 사업모델을 가지고 있는 회사이다. 벌써 생긴지 몇 년 되어 티셔츠 하나로 작년 매출이 1300만 달러나 되는 벤처기업이다. 디자이너 출신의 대학을 중퇴한 젊은이가 사장이라서 더 특이하다. 디자이너도 벤처 기업가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드문 사례 중 하나이다. Inc.com의 기사에서는 MIT의 에릭 본 히펠 교수가 MIT강의에 쓰레들리스의 사장을 데려다 경험담을 들었다는 이야기를 하면서 에릭 본 히펠 교수의 평소 주장대로 고객들에게서 얻는 혁신에 대한 이야기를 주로 다루었지만, 나는 약간 다른 측면의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어쩌면 공상..

I Think 2008.05.27

전동 비행기 아니 전기 에너지 시대가 온다!

얼마전 프랑스에서 사람이 탑승한 전동비행기를 비행했다는 기사가 났었는데, 이제보니 거기 뿐 아니라 몇군데서 전동비행기를 개발 중이라고 한다. 나도 며칠 전 자려고 누웠다가 갑자기 원자력으로 발전을 해서 모터를 돌리는 비행기도 가능하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나름 혼자 흥분했었던 적이 있는데 정말 조만간 전동 비행기 시대가 오려나 보다. 의외로 슬로베니아의 한 회사가 EU의 지원을 받아 글라이더 형의 전동기를 만들었는데, 조만간 판매한다고 하니 현재로선 가장 실용화에 앞선 것 같다. 아래 사진에 글라이더 처럼 생긴 기체다. 개발하는데 120억이나 들었다고 하는데 기존 글라이더 기체에 모터랑 배터리 다는데 그렇게 돈이 많이 드는지 의아스럽긴 하지만, 아무튼 좋은 시도라고 본다. 전기로 움직이는 탈것의 장점은 일반..

I Think 2008.05.19

인터넷 요금을 또 내라고? IPTV사업자에게 망사용댓가 부과는 부당하다.

이번에 다음과 NHN의 IPTV사업 진출을 두고 말들이 많다. NHN은 망사업자인 KT와 제휴를 통해 진출하고, 다음은 망사업자와의 제휴 없이 진출하는 것을 두고 어느 쪽이 유리할 것인가를 두고 한마디씩 하고있다. NHN이 망사업자와의 제휴를 했기 때문에 유리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하는 사람들은, IPTV를 위해 거액을 투자한 망사업자들이 다음의 무임승차를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인터넷 망사업자들은 자신들이 주장하는 속도로 정액의 요금을 받으며 소비자에게 인터넷 망 사용요금을 받고 있다. 100메가를 3만원에 받고 있으면 100메가를 다 쓰던 1메가만 쓰던 그것은 소비자 마음인 것이다. 망사업자들이 자신들과 제휴하지 않은 IPTV사업자들에게 망사용댓가를 받아낸다면 그 금액은 고스란..

I Think 2008.01.28

R&D에 돈 쏟아 붓는 것이 혁신인가?

strategy+business 라는 잡지에 혁신과 R&D에 관한 좋은 글 이 올라와 소개하고자 한다. 정확히는 성공적인 혁신전략에 관한 이야기이다. 기사는 잡지사의 에디터와 전략 컨설팅회사인 부즈 앨런 해밀턴의 부사장과의 대담 형식으로 되어 있다. 컨설팅 회사들의 기원이 애초에 회계사들이 모여서 기업에 자문을 해주던 것이 었기 때문에 컨설팅 회사들은 대대로 업무효율을 높이는데에 컨설팅의 역점을 둘 수 밖에 없었으나 요즈음은 시대가 바뀌어 혁신에도 손을 대고 있다. 부즈 앨런 해밀턴이 다른 곳 보다는 좀 혁신에 신경을 더 쓰는 곳으로 보인다. 부즈앨런해밀턴에서 전세계에서 R&D투자를 가장 많이 하는 1000개 기업에 대해 3년간의 조사를 해보니, 첫해의 조사에서 R&D투자 금액과 기업의 성과가 별 상관이..

I Think 2008.01.25

이익이 늘어도 이익증가율은 마이너스?

요즘 한참 안보던 주식을 좀 들여다 보고 있다. 머니사이언스라는 책에서 본 것 처럼 주가는 단기적으로는 단지 무작위로 움직일 뿐이라는 말에 동의하기 때문에 주식 투자를 하려면 기업의 가치를 보고 장기적인 투자를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단기적으로 호재니 악재니 하는 것들에 뒤흔들리며 짧은 시간단위로 변하는 주가를 들여다보면서 등락을 예측하는 짓은 경마장이나 카지노에서 하는 도박과 별다르지 않은 짓이라고 본다. 대부분의 증권사나 주식정보로 먹고 사는 분들이 꾸준히 하고 계시다. 옛날 미국 골드러쉬때 돈번 사람은 곡괭이랑 청바지 장사였다는 말처럼 그들은 수수료만 벌어 먹으면 되니까 사람들이 거래를 많이 할수록 그들은 수지가 맞는다. 서로 당구 실력 뻥튀기해서 오래 게임해봐야 돈버는건 당구장 아저씨다. 본론으로 ..

I Think 2008.01.20

취미로 하는 RC 비행기에도 혁신은 있었다.

RC 비행기를 하시는 분들은 뻔히 아시는 이야기 겠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실로 놀라운 이야기가 요즘 RC는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모터를 돌려서 비행기를 날린다는 것이다. 나도 어릴적부터 RC를 취미로 해보고 싶었으나 당시에는 가격이 너무 비쌌기 때문에 꿈만 꾸다가 다 커서 몇년전에야 RC자동차 하나 장만했고 얼마전에야 RC 비행기에 입문하게 되었다. 그 때 깜짝 놀란것이 요즘엔 엔진이 아니라 모터로 비행기를 날린다는 것이었다. 모터로 비행기를 날릴만한 힘이 되리라고는 생각을 못했었던 것이다. 그러나 휴대폰에 쓰이던 가볍고 힘좋은 리튬폴리머 배터리가 RC비행기에 쓰이고, 거기에 또 힘좋은 브러쉬리스 DC모터까지 쓰이게 되면서 전동 RC비행기의 시대가 활짝 열린것이다. 소음도 적고 매연도 없으며 시동..

I Think 2008.01.03